무장현 사직단은 읍성 외부에 있다

 



고창읍성에 관하여 검색을 하다보니 본의 아니게 고창 무장읍성에 관한 자료들이 나옵니다. 근데 고창 무장읍성을 답사한 분들이 나온 자료에는 무장읍성 안에 사직단의 흔적이 보인다고 적혀져 있더군요. 

답사한 분들이 자료를 참고한 곳은 바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입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는 이렇게 적혀져 있습니다. " 성에는 남문인 진무루(鎭茂樓)가 있으며, 성안에는 옛 고을의 풍모를 알 수 있는 객사와 동헌이 있는데, 객사는 송사관(松沙館)이라 하여 옛 무송·장사의 끝자를 따서 이름 지었다. 성안에는 조선시대의 각종 건물터와 사직단·여단(厲壇)·성황단 등의 터전이 그대로 남아 있다."라고 말이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사직단과 여단 성황단의 터전이 그래도 남아있다고 적혀져 있으니 답사한 분들이 이 자료를 그냥 가져오면서 사단이 나는 것 같습니다. 
1872년 지방지를 보면 무장현 사직단은 무장읍성 외부 북측에 그려 놓았습니다. 여제단도 북측 3리에 그려 놓았습니다. 무장현읍지에는 서측이라고 표시되어져 있습니다.  뭐 정확한 것은 지적도를 찾아봐야 하겠지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기록된 사직단과 여단, 성황단이 무장읍성 내에 있었다는 것은 아닐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